페이지

2015년 4월 9일 목요일

화성학 핵심정리 1 : ~백병동 화성학 종지까지@조연진

3화음 



  1. 화음(Chord) : 두 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것
  2. 화성(Harmony) : 화음이 일정한 법칙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
  3. 3화음(Triad) : 어떤 음 위에 3도씩 쌓아서 만들어진 3음이 동시에 울리는 것


  • Root : 가장 중요한 음이며 화음의 이름을 결정한다
  • 3음 : 화음의 성질 (Major/Minor) 을 결정한다
  • 5음 : Root와 3음 만으로도 화음을 결정 할 수 있고 5음은 화음을 채워 주는 정도이기 때문에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5음은 생략이 가능하다.




3화음의 종류

  1. 장 3화음 (Major triad chord) : 장 3도 + 완전 5도
  2. 단 3화음 (Minor triad chord) : 단 3도 + 완전 5도
  3. 증 3화음 (Augmented triad chord) : 장 3도 + 증 5도
  4. 감 3화음 (Diminished triad chord) : 단 3도 + 감 5도




4성체 구성

화음의 진행

1) 선율의 진행

  • 순차진행 : 2도 간격으로 진행
  • 도약진행 : 3도 이상의 간격으로 진행


2) 화성의 진행

  • 병진행 : 3도 이상의 같은 간격으로 움직이는 것
  • 반진행 :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 사진행 : 한 성부는 머물고 다른 한 성부만 움직일 때 




금지되는 진행

- 병행 1, 5, 8 도

  1. 두 성부간의 진행에 있어서 완전 1도, 5도, 8도로 이루어지는 병진행은 금지된다
  2. 악곡의 종지에 있어 소프라노와 베이스 간에 이루어지는 반진행 하는 병행8도는 허용된다
  3. 완전 5도에서 감 5도로의 병진행은 허용
  4. 감 5도에서 완전 5도의 진행은 금지


- 은복  1, 5, 8 도
  1. 병진행하여 도달되는 두 음이 완전 1, 5, 8도일 경우 이를 은복진행이라 한다
  2. 외성간에만 적용된다
  3. 소프라노가 도약해서 생기는 은복 5, 8도는 금한다




주3화음


  1. 어떤 Key의 중심이 되는 화음
  2. 장조와 단조 모두 Ⅰ,Ⅳ,Ⅴ 가 주 3화음이다




- 베이스 문제


  1. minor key는 화성단음계를 쓰기 때문에 7음에 #을 붙인다
  2. 중복은 근음과 5음을 중복한다. 3음은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복이 안된다 
  3. 병행 완전 1, 5, 8도와 선율 증2도와 증4도 진행은 금지 한다
  4. 이끈음이 소프라노에 와 있을 때는 으뜸으로 가는 것이 끝나는 느낌을 줄 수 있어 좋다
  5. 소프라노와 알토, 알토와 테너 사이는 8도 이내가 되어야 한다


- 소프라노 문제


  1. 조 (Key)를 적는다
  2. 소프라노 선율을 보고 화음을 정한다
  3. Sop에 같은 화음내의 음이 계속해서 나올 때는 같은 화음으로 도약, 진행 할 수 있다
  4. 같은 화음 안에는 도약이 가능하다
  5. 동일한 음이 연결되어 있으면 화음을 바꿔 준다
  6. 마디가 바뀌면 화음도 바꿔 준다
  7. Bass를 정하고 내성을 채운다
  8. 머물거나 가장 가까운 곳으로 연결한다




- 주의 할 점


  • 근음, 5음 중복 할 것 (3음 중복 절대 안됨)
  • 내성간에 8도 넘지 않도록 한다
  • 병행 완전 1, 5, 8도와 선율 증2, 증4도 진행은 금지한다




주 3화음의 제 1전위

1. 제 1전위


  • 베이스의 선율을 다양하게 하기 위해 움직임에 변화를 준다
  • 제 1전위는 베이스가 3음이 중복 되는 것에 주의 할 것 (상 3성은 근음, 5음으로만 구성)
  • 동일 화음이 반복 될 때, 베이스의 움직임에 변화를 줄 때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주 3화음의 제 2전위

2. 제 2전위

  • 제 2전위는 5음을 중복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상성과 완전 4도를 이루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드시 용법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주 3화음의 제 2전위 용법


  1. 경과적 용법
  2. 동일 화음 내에서 사용법 - 같은 화음으로 가고 있는데 베이스만 변한다
  3. 동일 베이스 위에서 사용법
  4. 종지적 사용법
- 가장 많이 쓰이는 용법으로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 5음 중복을 한다
- 곡의 끝맺음에 사용한다



부 3화음

부 3화음의 종류

  1. 3화음의 종류 : 장, 단, 증, 감 3화음이 있다
  2. 주 3화음 (1,4,5도)을 뺀 나머지가 부3화음(2,3,6,7도)이 된다
  3. 부 3화음은 조성의 다양한 화음과 색깔을 만들어 준다
  4. 부 3화음은 독립적인 기능을 가질 수 없다
  5. 주 3화음의 대리의 기능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부 3화음의 대리 기능

  1. 주 3화음의 대리 기능을 한다
  2. 중복하는 것에 있어서 주 3화음의 근음인 3음 중복이 가장 좋다
  3. 5음 중복은 금지한다. 단, 부 3화음의 제 2전위일 때는 중복이 가능하다
  4. 3음이 베이스인 제 1전위가 가장 좋고 가장 많이 사용한다

부 3화음의 특징

  1. 주3화음의 대리 기능을 한다
  2. 3음 중복 (주 3화음의 근음이 부 3화음의 3음) 이 가장 좋고 근음도 가능하다. 그러나 5음 중복은 피한다
  3. 제 1전위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4. 어떤 음이라도 생략하면 3화음의 특성을 흐려지므로 생략은 불가능하다
  5. 주 3화음과 이의 대리 화음인 부 3화음을 연속 사용하면 화음변화와 베이스 진행에도 좋다. 3도 하행이 효과적이다
  6. 7도 화음은 근음이 이끈음이기 때문에 불안정한 화음이고 이끈음은 반드시 으뜸음으로 가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부3화음의 전위

  1. 3음 중복이 가장 좋고 근음 중복도 가능하다
  2. 제 1전위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3. 5음 중복은 피한다. (주 3화음의 3음이므로)
  4. 단, 제2전위는 용법에 준하여 쓰므로 5음 중복이 가능하다
  5. 어떤 음도 생략이 불가능하다
  6. 7도 화음은 이끈음이 베이스에 오기 때문에 기본 위치는 쓰지 않고 제 1전위를 많이 사용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글 목록

Test